|
2025년 4월,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예비후보가 AI 산업에 100조 원 투자를 공식 선언하고, “한국형 챗GPT를 전국민이 사용하게 하겠다”는 공약을 발표했습니다. 또한 첫 공식 일정으로 AI 반도체 스타트업 퓨리오사AI를 방문하면서, 인공지능 관련주에 다시 한번 불이 붙었습니다.
이 글에서는 이재명 AI 공약의 핵심 내용과 함께, 실제로 수혜 가능성이 높은 6개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관련주 6선의 기술력, 정책 연계성, 투자 포인트를 분석합니다.
1. 이스트에이드 (ESTaid)
- 핵심 키워드: AI 검색 요약, 콘텐츠 큐레이션, ZUM 포털
- 기술 요약: ZUM요약, 봉봉, MIVV 등 AI 기반 콘텐츠 서비스 운영
- 정책 연계성: 한국형 챗GPT와 직접 연관은 없으나 AI 검색 요약 기능과 접점
- 투자 포인트: AI 큐레이션·검색 기술의 확장 가능성
2. 와이즈넛 (Wisenut)
- 핵심 키워드: AI 챗봇, 자연어처리, 공공기관 솔루션 납품
- 기술 요약: 공공기관·금융권 대상 챗봇 공급
- 정책 연계성: 챗GPT 유사 서비스 경험으로 협력 가능성
- 투자 포인트: 공공 챗봇 시장 확장, B2B SaaS 기반 매출 안정성
3. 솔트룩스 (Saltlux)
- 핵심 키워드: 디지털휴먼, 초거대 AI, 음성합성
- 기술 요약: AI Suite 기반의 챗봇, 음성 합성, 빅데이터 분석 기술 보유
- 정책 연계성: 정부 디지털서비스 대중화 전략과 밀접
- 투자 포인트: 초거대AI 기술 기반, 공공 프로젝트 참여 경험 다수
4. 이스트소프트 (ESTsoft)
- 핵심 키워드: AI 검색엔진, 보안 솔루션, 자회사 줌인터넷
- 기술 요약: 검색형 LLM 서비스 ‘앨런’ 출시, AI 보안 기술 개발
- 정책 연계성: 챗GPT와 유사한 검색 기술, 보안융합 가능
- 투자 포인트: 검색+보안 생태계 확장, 자회사 가치 상승 기대
5. 크라우드웍스 (Crowdworks)
- 핵심 키워드: AI 학습데이터, 크라우드소싱 플랫폼, 초거대AI
- 기술 요약: 데이터 수집-정제-검수 일괄 처리 플랫폼
- 정책 연계성: ‘AI 데이터 클러스터’ 정책의 핵심 공급업체 후보
- 투자 포인트: 초거대 AI 활성화에 따른 지속적 데이터 수요
6. 알서포트 (Rsupport)
- 핵심 키워드: 원격 제어, 화상회의, AI 상담
- 기술 요약: 화상회의 + AI 기능 융합 중, 글로벌 SaaS 모델 확장
- 정책 연계성: 공공기관 비대면 인프라 확장 시 수혜 가능
- 투자 포인트: 안정적 구독 기반 매출, AI 전환 기대감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알래스카 LNG 관련주 분석 : 동양철관, 하이스틸, 한텍, 넥스틸 (1) | 2025.04.15 |
---|---|
LG엔솔의 질주, lg엔솔 관련주 : 나인테크, 성우, LG화학, LG에너지솔루션 분석 및 전망 (1) | 2025.03.21 |
양자컴퓨터 관련주 정리 및 전망 (0) | 2025.03.20 |